![]() ![]() 공지영 지음 오픈하우스 2010-11-25 < 도서구입은 책표지클릭 |
최근 마련한 아이폰에서 e-BOOK으로 구매했다. 종이 넘기는 맛과 글자의 크고 작은 배치, 칼라를 소중히 여기는 평소의 신념과는 달리, 도대체 e-BOOK이 얼마나 읽혀지나 하는 반신반의의 실험정신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필요하면 언제든지 책을 펼 수 있는 것이 e-BOOK이다. 특히 화장실에서 뭔가를 읽어야 하는 습관이 있는데, 안성맞춤이다.
같이 앉아서 맥주 한 잔 들이키는 기분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책을 읽는다기보다 지리산의 그들과 함께 앉아서 시원한 맥주나 한잔 들이키는 기분이었다. 결코 낯설지 않았고, 어색하지 않았다. 그 안에 끼지 못하는 것 같을때는 조금 아쉽고 그 안에 있는 서울내기 꽁지작가가 부럽기만 할 뿐이었다.
내가 알고 있는 사람가운데도 실상사 앞 골짜기에 흙집을 짓고 사는 노총각이 있다. 염색을 주로 하고, 간혹 논농사도 조금 짓기도 하는 것 같다. (농사짓는 모습을 본 적은 없다.) 염색을 주로 한다고는 하지만 이것도 내가 내려갔을때는 하는 것을 못봤다. 서울에서 환경운동 10년넘게 하다가 건강을 핑계로 귀농해서 내려갔다가 지금껏 살고 있다.
이 노총각이 흙집을 짓고나니 서울서 친구들이 많이 찾아온다고 한다. <지리산행복학교>에서 꽁지작가가 살짝 언급했듯이 이 사람들도 오랫동안 보지못한 친구를 찾아서 온다고들 하지만 각자 자기들 먹을 것 싸가지고 휴가차 내려온다는 것이다. 주말에는 종종 집이 가득차기 때문에 가능한 평일에 방문해주기를 바란다고 한다. 아예 옆에다가 흙집을 하나 더 지었다. 친구들이 자기들이 출자(?)해서 지었다고 한다.
이 노총각이 하는 말이 있다. 여기 올때 빈손으로 와도 되는 사람은 니 밖에 엄다. 아무도 빈손으로 와서 먹을 것 달라는 사람 엄다. 지 먹을 거 지가 싸서 와야지. 하지만 니는 돈을 안버니까 개안타! 오랜만에 찾아오는 친구들이 이것 저것 싸오는데 먹고 남은 것으로 지낸다고 한다. 고알피엠여사처럼 말이다.
불안한 40대를 위한 희망시
낙장불입 시인이나 버들치시인의 경우에는 수경스님과 함께 도보순례에서 이래 저래 몇 번 만났다. 검게 그을린 그들을 온몸으로 반기며 도보순례 중간중간에 행사를 마련하기도 하고, 참여하기도 했다. 그들이 몸으로 쓴 시를 들으며 시가 살아있고, 그들이 살아있음을 느끼곤 했는데 <지리산 행복학교>에서 알게된 그들과는 차이가 있다. 거리에서 만난 그들은 무겁고 비장함이 있었다면 책속의 그들은 편안함 그 자체다. 세상의 변화는 비장함보다 편안함과 부드러움이 가져올 것이라는 믿음에 확신을 더해주는 모습이다.
그동안 소유와 소비가 행복의 척도가 되는 것에 대해 비판해왔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경쟁과 갈등이 우리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해왔고, 또 그 속에서 자연환경의 파괴는 필연적이고 그 결과는 다시 우리들의 삶을 황폐화시킨다고 강조해왔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의 실천들이 필요하다고 방법들을 찾아다녔다. 개인의 행복한 삶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고, 또 공동체의 삶이 왜 중요한지도,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 우리들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찾아 해맨것 같다.
그러나 여기 공지영작가가 이야기하듯 써내려간 <지리산의 행복학교>는 그 어느 대안적인 것들보다 대안적이다. 박하향이 입안에 머물듯 싸한 개운함이 감돈다. 나이들어도 풋내나는 삶이 가능하고, 옆구리라도 쿡 찌르면 간지러워 자지러지게 웃을 수 있는 그런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말에 얼마나 동의할지는 모르지만 20대의 청춘은 이해 못할 자유가 있다. 40을 넘은 지금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이후의 삶이 불안한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강추한다.
'책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과 공간 : 좀 더 가까이 (0) | 2011.06.13 |
---|---|
100℃ : 뜨거운 기억, 6월 민주항쟁 (1) | 2011.06.13 |
[책리뷰] 김제동 : 맑은 눈을 만나다 (5) | 2011.05.10 |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1) | 2011.04.29 |
마음챙김 : 지금 이 순간 알아차리기 (4) | 2011.04.22 |
[책리뷰] 현대인들에게 제시하는 <다른 길> (1) | 201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