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읽다

[책리뷰] 도자기 : 마음을 담은 그릇





<도자기, 마음을 담은 그릇>은 만화책이다. 고고미술사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이 도자기를 소개하는 책이다. 글이든, 그림이든 도자기를 새롭게 소개하는 방식이 새롭다. 그동안 박물관이나 역사책에서 그릇(도자기)을 만나면 그저 그 시대의 유물이려니 하는 생각 이상의 관찰은 없었다.

잔잔한 일상의 에피소드를 통해 도자기를 만들었던 당시를 회고하고 그 문양에 얽힌 사연을 연상해보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게 사실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도자기에 대한 과도한 역사적 사실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담백하다. 고고미술사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학교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모습들, 또 작가 나름의 상상을 더해서 도자기와 도자기 표면에 새겨진 문양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과거의 도자기, 역사속의 도자기가 오늘 우리들의 삶 속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무엇보다 박물관의 박제된 듯한 느낌의 전시된 도자기에 대한 무관심에서 조선시대, 고려시대 등 당대의 삶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특징적이다. 

<도자기 - 마음을 담은 그릇>을 통해 많은 상상을 하게 된다. 과거의 역사가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주는 영향을 생각해보게 된다. 과거 왕조의 변화에 따른 격변기에 겪게 되는 시대상황을 통해 현대사회의 제반 모순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교훈삼을 수 있을 것이다. 

또 붓다의 가르침을 담은 불교의 경전도, 공자와 예수의 가르침도 마찬가지다. 과거의 가르침으로만 남겨둔다면 우리에게 아무 의미가 없을 것이다. 지금 내가 안고 있는 괴로움을 해결하는 지침으로 안내할 수 있어야 한다. 문자풀이에만 국한해서는 안되고 현대사회의 모순과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 상큼한 책 한권을 만난 기쁨이 크다. 다음에 박물관에 가면 과거와의 대화를 시도해봐야겠다.







인상적인 도자기들과의 만남

근심을 잊는 찻잔 받침대라는 의미일까? 망우대라고 씌어진 찻잔 받침은 참 특이하다. 작가도 이 대목에서 '500여 년 전이나 지금이나 인간 세상은 온통 닦기 힘든 근심투성이구나'라고 혼자서 중얼거리는 장면이 나온다. 옛 선조들의 미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화장실에 볼일 보러 가면서도 '해우소'라는 이름으로 근심을 잊어버리는 곳이는 의미를 달았듯이 차 한 잔 속에서도 이러한 의미부여를 하는 여유를 볼 수 있어 좋다.

근심의 종류야 예나 지금이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을 해소하는 마음가짐은 어땠을까 하는 궁금함이 살짝 생긴다. 저런 미학과 여유라면 근심을 잊어버리는 지혜또한 남다를 것 같다는 기대에서 말이다. 요즘 사람들처럼 허둥지둥 대는 모습은 덜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 청화백자 '망우대'가 쓰인 국화 곤충무늬 잔받침 / 조선 15세기, 보물 1056호,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나는 이 도자기의 사진을 보고는 충격이었다. 그동안의 매란국죽의 고상한 절개를 그리거나, 선비가 나무아래 앉아 공부하는 가운데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그리거나, 새가 나무에 앉아 서로 정답게 지저귀는 모습을 담거나, 꽃과 나비를 담거나 하는 것 일색이었다. 이러한 것들이 나쁘다거나 의미없다거나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찌보면 그 당시 시대의 <파격>에 대해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작가는 이 대목에서 까실까실한 여름이불을 목에 두르는 장면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백자를 만든 도공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백자의 모양을 만들고 난 후 그 위에 올려야 할 그림들에 대해서 고민하는 장면, 그리고 목도리를 둘른 듯한 그림을 그리고서는 어떤 표정이었을까를 떠올려본다. 

백자 철화 끈무의 병 / 조선 15세기중,후반~16세기, 보물 1060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만화 | 호연
고고미술사학을 전공하는 학부생이며, 우리 것을 사랑하고 그에 대한 애정을 만화로 풀어내는 것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공부하고 있다.